‘살고싶은 도시만들기’ 정책이 시범사업을 필두로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지금까지 진행된 마을만들기 사례를 정리해서 ‘이렇게 하면 살고싶은 도시가 된다’는 매뉴얼도 만들어 배포하고 있다.
‘주민참여’를 기치로 내세우는 살고싶은 도시만들기 정책을 정부가 앞장서서 추진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정부의 힘만으로는 주민들이 원하는 도시를 만드는데 한계가 있음을 인식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주민참여와 살고싶은 도시는 무슨 상관일까?
연초에 주민참여가 활발하다는 동경 주변의 작은 도시를 방문한 적이 있다. 이  도시는 일본에서도 살고싶은 도시로 손꼽히는 곳으로, 이주율이 매우 낮은 도시이다.
이 도시는 산업화시대에 토지구획정리방식을 통해 주거지 위주로 만들어져 공원등의 공공녹지가 매우 부족하였다고 한다. 그래서 사유지를 시정부가 사들여 작은 공원들을 지속적으로 만들어 나가고 있으며, 주택안의 녹지면적도 시의 녹지통계수치에 포함시키고 있다. 그 결과 주택가 주변에는 작고 다양한 공원들이 잘 만들어져 있으며, 주택안의 정원도 남들에게 즐거움을 줄 수 있도록 잘 가꾸어져 있었다. 
무엇보다 특이한 점은 모든 공원과 녹지가 크고 작은 주민모임과 동호회,  비영리민간단체(NPO)들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는 사실이었다. 그리고 그 모임이나 단체의 주요 구성원들은 퇴직한 노인들이었다.
담당공무원에게 녹지관리방식에 대한 설명을 듣는 자리에서 물었다. “한국의 공무원들은 시민단체와 일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솔직히 시민단체와 일하는 것이 피곤하지 않느냐?”고.
이에 대한 답변은 “공원은 많은 시민들이 찾아와 주어야 한다. 공무원이 만드는 것보다 시민들이 직접 만들고 관리해야 더 많은 사람들이 찾아오고 더 많은 관심과 애착을 가지고 관리가 된다, 또한 시의 한정된 예산만으로는 공원을 제대로 관리하는데 한계가 있다. 시민들은 적은 예산을 가지고 더 효율적으로 공원을 관리한다”는 것이었다. 이 도시에서는 매년 초 NPO를 대상으로 한 공원관리사업 설명회를 개최하고 각 공원마다 선정된 단체에게 그 공원의 관리를 맡긴다고 한다. 
우리는 어떨까? 시민단체가 이런 일을 시에 요구한다면 공무원들은 자신의 자리를 빼앗는다고 생각하거나, 시민단체가 무언가를 바란다고 생각할 수도 있을 것 같다. 그러나 보다 효율적인 도시관리는 일본의 사례에서와 같이 주민참여가 활성화될 때 가능하다. 주민들이 스스로 만들고 가꾼 공간일수록 소중히 여기는 것은 자명한 이치이다. 살고싶은 도시만들기는 주민들이 이렇게 애착을 가지고 오래 살고 싶을 때 가능하다.
꽃의 도시라 불리는 고양시에 녹지가 풍부하다는 사실은 알만한 사람은 다 안다. 그러나 가까이 들여다보면 제대로 관리되고 있는 녹지는 많지 않다. 시민들이 우리 도시에 대해 강한 애착을 갖고 있다고 말할 수도 없을 것 같다. 제대로 된 녹지관리를 위해, 그리고 주민들이 오래오래 살고 싶은 도시를 만들기 위해 우리 고양시도 이 도시처럼 발상을 바꿀 수는 없을까? 노령화가 가속화되는 지금, 노인들에게 일자리도 제공해 줄 수 있는 도시관리정책의 발상전환을 기대해 본다.      
윤인숙 한국토지공사 기업시민팀장/도시계획학 박사
저작권자 © 고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