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성남시에 이어 인근 파주시에서 기자단이 해체를 선언하고 기자실에서 철수하였다. 경남, 인천, 강원 등지에서 공무원직장협의회가 중심이 되어 기자실이 폐쇄되어야 한다는 운동이 들불처럼 번지고 있다. 이미 관 주도로 기자실을 폐쇄하여 귀감이 된 남해군의 예를 뛰어넘어 이제는 기자단 스스로 기자실 개혁운동에 동참하고 있고, 그 폐해를 직접 목도한 공무원 조직에서 그 철폐를 요구하고 있다.

파주시 기자단이 취지문에서 “지금 사회적으로 언론개혁을 여망하는 국민적 욕구가 점증함에 따라 시청 출입기자단은 이에 동참한다는 뜻에서 기자실을 폐쇄한다”고 밝히고 있듯이 내외적으로 기자실 개혁운동과 그 대안 모색이 활발하다.

기자실이 긍정적 효과보다 부정적 요소가 더 많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기자단은 본래 일본의 ‘기자클럽’을 본따서 만들어 졌으며, 기자실은 관이 기자들에게 취재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그러나 이 같은 선의의 취지가 우리나라에서는 권언유착의 통로로 이용되고 있으며, 일본보다 폐쇄적이고 배타적으로 운영되어 권력을 행사하는 카르텔을 형성하며 갖은 부조리를 낳고 있다.

기자단의 관 정보의 독점에 따른 이해 유착으로 부패의 온상이 되었으며, 편향 왜곡 보도의 가능성이 커져 국민의 알권리가 오히려 침해되곤 했다. 인천공항 기자실의 출입 기자단 외 출입방해 사건은 대안 매체에 대한 배타적 행위의 극명함을 보여주어 국민의 비판이 쏟아졌다. 이는 건전한 군소 언론이나 다양한 언론 매체의 발전을 가로막고 있는 것이다.

공공단체도 아닌 친목단체 성격이 강한 기자단에 공공재산을 독점하게 할 수 없다. 더구나 언론사는 엄연히 이익을 추구하는 영리기업이기에 시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시설을 이용할 권한이 없다. 여기에 각종 편의시설과 인력 지원까지 지원한대서야 말이 되는가.

이제 대부분 행정이 공개되고 있으며 모든 정보가 인터넷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모든 시민에게 전달되는 시대다. 기자실이 기자단에 배타적으로 존재할 이유는 없다. 다양한 대안이 모색 중이지만 사천시의 예처럼 기자실을 브리핌 룸으로 전환하는 문제도 한 방안이다. 기자실 문화를 수출한 일본에서조차 기존의 기자실을 시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열린 공간으로 바꾸고 있거나 유료화를 추진하고 있다.

사무실 공간이 부족한 고양시는 상설 공간을 마련하기보다 여타 회의실을 필요에 따라 브리핑실로 전환할 수 있다. 시는 인터넷으로 언론 관계자에게 보도 자료를 송부하면 족하고, 기자회견이 필요할 경우 브리핑 개요와 시간 장소를 알려 기자 뿐만아니라 궁금한 시민 누구나 참여하는 강단식 ‘소식터’를 만드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는 몇몇 출입기자만의 편의를 제공하는 닫혀진 공간에서 벗어나 투명하고 공개적인 행정을 실현하고 시민의 알권리를 보장하는 열린 공간으로 시민의 사랑을 받을 것이다.

파주의 예처럼 기자단 스스로 언론개혁에 동참하여 기자실을 철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모습일 것이다. 이것은 기득권을 자율적으로 포기하는 것으로 내부의 공감대와 자기희생을 감수하는 결단력을 요구할 것이다. 그렇지 못할 경우 지자체는 기자실을 설치와 운영을 해온 만큼 폐쇄할 수 있는 법과 정당한 권한이 있음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고양시도 공직협이나 시민의 요구에 앞서 개혁적 결단을 할 시점에 와 있다.
저작권자 © 고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