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의 눈물'과 '허준' 이래로 사극에 대한 인기가 높아진 것은 역사를 공부한 사람으로 반가운 일이다. 드라마는 당시의 상황을 현실감 있게 전해야 하므로 필연적으로 픽션 부분을 피해갈 수 없다. 극적인 구성을 짜다보면 픽션 부분이 과다하게 첨가된다. 그러나 적어도 시대상황이나 드라마의 기본적인 골격, 드라마의 메시지에는 픽션이 들어가서는 안 된다. 인기몰이를 하고 있는 사극에서 문제점 들을 찾아본다.



▷ 태조 왕건

·왕건'은 {三國史記}와 {高麗史}를 바탕으로 한 것이므로 기본적인 줄거리는 대체로 인정될 수 있다. 이런 부분은 거의 나레이터의 해설로 처리된다

·세 영웅의 조우 : 초반부에 왕건, 견훤, 궁예가 서로 만나는 장면이 있는데, 이는 {三國志}의 도원결의 부분을 참고해 창작한 것.

·{도선비기}를 통한 암시 : 왕건의 후삼국통일을 예고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이는 픽션이다. 도선과 왕건의 텔리파시 부분은 두 말할 필요도 없다.

·왕건과 견훤 주변의 인물 설정 : 왕건 주변에는 긍정적이고 매력적이며 뛰어난 인물이 배치되는 반면, 견훤 주변에는 상대적으로 평범하거나 우습고 문제 있는 인간형이 배치되었다. 이는 있을 수 없는 일.

·견훤의 가족 : 견훤이 아들 신검에 대해 처음부터 미워하고 사사건건 트집을 잡고 하는 것은 어디까지나 픽션이다. 상주에는 견훤 아버지 아자개의 성(城)이 있었다고 하는데, 이는 후대의 기록이다.. 아자개가 가진 세력의 정도나 구체적인 행적은 불확실하다.

·조물성 전투에서 왕건과 견훤의 조우 : 사실이 아니다. 두 인물이 실제로 만난 것은 견훤이 신검으로부터 도망친 뒤로 추정된다.

·견훤과 왕건의 전투 : 드라마상으로는 처음부터 상호간에 승리를 주고받는 것으로 되어 있다. 전체적으로는 왕건의 승리가 보다 강조된다. 그러나 후백제가 망하기 몇 년 전으로 한정하면 후백제의 승리가 두드러졌다.

·전투시의 명령 : 장군이 수천 수만명에게 때마다 호령을 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북소리, 징소리 들을 신호로 만들어 사용했다.

·왕건의 로맨스 : 왕건은 호족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 이들의 딸들을 25명 이상 아내로 맞이했다. 로맨스가 아니라 일종의 정략결혼이었다.

·각 종 연회장면 : '왕건'의 시대적 배경은 9세기말-10세기초다. 그런데 드라마 장면에서는 5-6세기의 고배(高杯)나 삼국통일기 직후의 영배(방울잔) 들이 나온다. 9세기말 이후에는 적어도 유약이 흐르는 -거의 자기에 가까운- 잔이 사용되었다. 거꾸로 촬영 세트의 장식용 자기류는 중국의 명청 대 것으로 보인다.

·촬영 성곽 : 촬영장이 된 조령, 남한산성, 수원성 등은 거의 조선시대 성곽이다.

·궁예의 죽음 : {삼국사기}에는 그가 배가 고파 보리이삭을 몰래 따먹다가 백성들에게 발각돼 살해당했다고 한다. 드라마에서는 그가 자신의 죽음을 받아들여 장렬한 최후를 마치는 것으로 나온다. 이는 양쪽 모두 사실과는 다르다.

·궁예의 위상 변화 : 처음 등장할 때는 민중 중심의 이상향을 꿈꾸며, 일정한 범위 내에서는 이를 성취한다. 이러한 인물이 서서히 잔인무도한 독재자로 변해가는 데, 그 변화의 배경에 대한 타당한 설명이 없다. 단순히 사건의 나열로만 되어 있다. 자기가 말하는데 기침한다고 그 신하를 죽이는 임금은 정신 나간 사람이거나 처음부터 매우 포악한 사람이다. 이러한 임금은 존재할 수 없다.

▷여인천하

·이 드라마는 박종화의 {여인천하}를 각색한 것이다. 그러므로 픽션에 픽션이 더해진 형태.('허준'도 마찬가지). 또한 당시의 정국을 몇몇 여성들이 주물렀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문정왕후 : 그녀는 보우와 문란한 관계를 가졌고 개혁적인 유림들을 제거하는 등 부정적인 면이 많다. 그런데도 드라마에서 냉철한 판단력과 완벽한 성품을 가진 인물로 묘사되는 것은 문제가 있다. "윤원형의 재산이 나라재산의 반이라"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정난정 : 처음부터 궁궐에 드나들고 왕과 만나는 등의 행동은 사실로 볼 수 없다. 정난정도 실제보다는 긍정적으로 표현되고 있다.
·윤원형과 문정왕후의 관계 : 윤원형은 원래 문정왕후의 동생이다. 그런데 이덕화가 전인화보다 나이가 많기 때문에 어울리지 않아 '오빠'로 조작되었다.

▷명성황후

·명성황후와 고종의 비중 문제 : 명성황후의 총명함을 강조하기 위해 이 인물을 지나치게 미화하는 측면이 있다. 따라서 고종을 비롯한 남성들에 대해서는 무능한 측면만이 강조된다. 또한 인물에 초점을 맞춘 결과 당시의 개혁정책도 주로 개인적인 차원에서만 부각되고 있다.
<중산고등학교 교사>

·嬪의 아이를 황후가 키우는 것은 사실과 다르다.
저작권자 © 고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