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인터뷰 - 한양대 도시대학원 노정현 교수

▲ 고양시 경전철 수요예측에 논란이 많다. 수요예측을 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은.
‘휘더(Feeder)’라는 개념에서 봐야한다. 즉 간선에서 지선으로서 교통이용자를 어느 만큼 효과적으로 ‘뿌려줄 수 있느냐’가 수요예측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효과적이라는 말은 교통이용자 측면에서 시간절약 측면뿐만 아니라 접근의 편리성과 일맥상통한다. 한류우드나 킨텍스가 매우 매력적인 시설이라서 외부 수요를 많이 유입시키는 것과 별개로, 간선에서 지선으로 갈아탈 때 불편하면 경전철을 이용하지 않을 것이다. 간선에서 지선으로, 혹은 지선에서 간선으로 갈아타기 힘들어서 ‘차라리 버스나 자가용 타고 말지’라고 생각해버리면 수요는 줄어든다는 말이다. 몇 정거장 더 가기 위해 고가로 올라갔다 내려오는 것은 쉽지 않다.

▲ 고가 형태 전차, 노면전차, 지하철 여러 대안이 있는데
고가 형태 전차는 경관을 헤치는 것이 사실이다. 노면전차는 기존 교통체계를 방해한다. 지하철은 셋 중에서 비용부담이 가장 크다. 비용부담이 가장 적은 것은 노면전차다. 노면전차 비용은 고가형태에 비해 대략 3분의 1 수준이다. 기존 교통체계와의 연계를 잘한다면 노면전차를 고려해 볼 만 하다. 보통 노면전차는 위험하다는 생각이 크지만 유럽의 대부분의 도시는 환경친화적이고 이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노면전차를 선호하고 확장하는 추세다.

▲ 국내 경전철 사업은 대부분 홍역을 치르고 있는 것 같다. 국내 경전철 사업에 대한 평가를 하자면
사람들이 경전철에 대해 제대로 인식할 기회가 별로 없었다. 또 비용부담도 크다. 그렇기 때문에 경전철 사업을 진행하는데 저항이 커지는 것이다. 실제로 용인 경전철의 경우 리니어모터(LIM)시스템으로 차체가 가벼워야 하는데 무겁다. 차체가 무겁기 때문에 교각 구조물이 육중하게 됐다. 교통혼잡을 최소화하기 위해 교각을 세우는데 실제로는 지하로 하기엔 비용이 크다는 측면이 더 크게 작용한다. 설치는 해놓되 관리부담이 각 지자체에서 지기 보다 정부가 상당부분 진다는 측면에서도 각 지자체가 경전철을 선호한다.

▲ 경전철이 성공하려면 어떤 변수를 고려해야 하나
비용이 적게 드는 시스템이어야 하고, ‘휘더(Feeder)’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해야한다는 점이다. 간선의 역할을 하는 3호선(일산선)은 길이 너무 꼬불꼬불하고 정거장이 너무 많아 서울과 일산간의 간선역할을 하는데 제한적인 면이 있다. 또 다른 간선이 역할을 하는 경의선의 어느 정도 간선 역할을 하느냐가 중요하다. 한류우드와 킨텍스 등을 모노레일로 연결하는 구상은 나쁘지 않다.

저작권자 © 고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