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당공천제 복수후보, 편파 시비까지

“지구당 위원장이 이렇게 막강한 자리인 줄 누가 알았겠습니까. 형식적으로야 도당을 거쳐 중앙당 공천심사위까지 올라가게 되어있지만 실제 위원장이 좌지우지 하는 거죠.”

그 어느 때보다 막강해진 정당 지구당 위원장, 혹은 지역위원장의 ‘권한’에 후보들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 정당공천에 복수공천까지 가능해지면서 ‘주고 안주고’의 권한을 지구당에서 갖게 됐다.

기호 1번을 받게 되는 한나라당 공천자의 당선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높게 예상되고 있다. 복수공천이 가능해지면서 한나라당의 경우 기호 1의 가, 나 번으로 공천후보임을 나타내게 된다. 민주당은 2의 가, 혹은 나 번이 된다. 이 경우 가 번 후보가 나, 다 번보다 유리할 수밖에 없다. 개정 선거법에서는 복수공천시 순번까지 정당에서 정하도록 하고 있다. 공천권자의 권한을 강화시켜준 셈이다. 후보들은 공천, 그것도 앞 순번을 받기 위해 애를 쓸 수밖에 없다.

물론 각 정당에서는 경선이나 전략공천 방식을 상황에 맞게 선택하고, 공천이라도 대의원대회나 도당 공천심사위원회를 통해 후보를 결정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민주당의 경우 워낙 후보가 많다보니 외부 인사 영입이나 특별한 이유가 있는 경우에 한해서 경선을 하도록 권장한다. 도당 공천심사위가 결정을 하게 되더라도 지구당 위원장에게 ‘진술권’이 있고 최종 결정에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중앙당이나 도당에서 세세한 후보들의 공천까지 개입하기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

시의회 의원들이 의회 회기까지 포기하고 국회의원이나 지구당 위원장 행사에 ‘참석’하고, 일부 사안에서 당론으로 뭉칠 수밖에 없는 이유도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당원확보 경쟁까지 조장하다보니 “누구는 1000장이 넘었다”거나 “받아온 당원명부가 대부분 중복된 것이었다더라”는 식의 이야기가 나돌기도 했다.

최근 공천을 둘러싼 지역 정가의 갈등은 정당공천제가 지방자치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유력한 물증이 되고 있다.

저작권자 © 고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