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 고양무지개연대 활동평가 토론회>
존속과 해소 논의 팽팽…선거 돌풍 통해 전국 이슈

이번 지방선거에서 확실한 바람을 일으킨 고양무지개연대. 앞으로의 행보를 고민하고 있다.
시장을 포함해 8개 광역의원, 기초의원 17명을 야5당 후보가 확보한 이번 지방선거의 돌풍. 바람의 실질적인 진원지가 지역시민사회단체와 야권인사들로 구성된 고양무지개연대라는 것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는 이들은 많지 않을 것이다. 실로 ‘대단한’ 성과를 거둔 고양무지개연대는 앞으로 어떻게 될 것인가.

안팎에서는 ‘발전적 해소’안과 ‘지역내 역할론’이 함께 나오고 있다. 민주당 김현미 위원장과 함께 이번 연대를 이뤄낸 공신 중 한명이라 할 수 있는 이춘열 집행위원장은 “선거연합의 승리에 따라 꿈에서 현실로 전화하게 될 무지개연대의 정책 대안들을 어떻게 시정에 반영하고 구현해갈 것인가” “크고 넓은 새로운 시민사회 연대체는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 등의 과제를 던지며 사실상 무지개연대의 계승을 주장하고 있다.

‘6.2지방선거와 고양무지개연대 활동평가 토론회’가 18일 오후 4시부터 일산동구청 2층 다목적교육실에서 열렸다. 선거평과와 고양무지개연대 활동 평가, 두 부분으로 나누어 진행된 토론회는 밤 9시 50분까지 정당, 단체 활동가, 또 시민의 입장에서 본 다양한 의견을 주고받는 자리였다. 

권명애 고양무지개연대 사무국장의 사회로 진행된 토론회 1부는 김민문정 기획팀장의 선거평가 발제로 시작되었다. 김민문정 기획팀장은 투표율, 득표율 등 각급 선거의 득표현황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진보개혁세력의 반MB연대의 승리 △소수 정당의 지방의회(도의회, 시의회) 진출 △여성, 청년 등 사회적 취약계층 다수 진출 등으로 이번 선거 결과를 평가하고 △반MB연대 경험을 통한 신뢰 형성 △정당과 시민사회단체를 포괄하는 광범위한 연대 형성 △미리 준비했던 이른 출발과 구체적 목표 설정, 추진력 △참여 조직의 헌신성과 실행력 있는 조직구조 등을 승리요인으로 꼽았다. 이어 정책실종 선거 논란과 좋은 후보 선정과 후보 단일화 과정에서 후보검증 유의미성 논란 등 선거 쟁점을 짚고 정당공천제, 무소속 시민후보의 의회 진출, 소수정당의 기초의회 진출 등 한계에 대해서도 검토했다. 

지정토론에 나선 최영희 민주노동당 고양시위원장은 “우리의 예상보다 MB정권에 대한 민심은 더 냉혹했다”며 “고양시에서 전국적으로 가장 모범적인 연대 구조를 만들어냈으며 이런 정치적 실험이 성과를 낸 만큼 고양시를 주목하는 시선이 우리의 과제로 남겨졌다”고 정리했다. 

신관섭 국민참여당 지역위원장은 “국민참여당의 성과는 연대의 성과”로 평하며 시민사회단체에 감사의 뜻을 전했다. 다만, 광역단체장 선거 결과에 대한 아쉬움을 표했다. 안광인 진보신당 부위원장은 “곧 전국회의에서 당의 선거평가가 이뤄지겠지만 당내에서는 연대에 대한 논란이 많았다. 그러나 고양시에서의 연대는 묻지마 후보단일화가 아닌 1년을 넘게 준비한 결과이고 마지막까지 함께 할 수 있었던 것도 정책연대를 바탕으로 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김만흠 공동대표는 “장기적으로는 고양무지개연대를 축으로 공동체가 같이 살고자 하는 연대로 나아가야 한다”며 정당공천제의 문제점과 외국의 사례를 들어 지역당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이춘열 집행위원장은 안정적인 시민사회기구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다.
‘고양무지개연대 활동평가’의 발제를 통해 이춘열 집행위원장은 고양무지개연대의 준비과정과 구성, 활동에 대해서 요약하고 정당의 후보연대 과정에서 수시로 중재조정안을 내며 사실상 정당협의를 이끌고 간 과정 등에 대해 평가했다.

이춘열 집행위원장은 고양무지개연대의 성과를 받아 안아 풀뿌리 주민자치와 지역공동체 기반을 다져나갈 보다 크고 안정적인 시민사회기구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토론과정에서는 “정당 내 민주화나 상향식 공천이 제대로 구현되지 않고 있다. 한시적인 선거기구가 아닌 거버넌스 체제 등을 염두에 두고 본연의 목적을 실현해 나갈 수 있는 상시적인 기구가 필요하다”며 지속적인 조직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주장도 나왔다. 무지개연대가 출범하면서 약속했던 1만인위원회가 사실상 구성되지 못한 부분에 대한 지적이 제기되기도 했다. 

“고양무지개연대는 선거대응 기구가 아닌가. 해산하고 모태가 된 시민사회연석회의로 돌아가는 것이 맞다”며 발전적 해소를 주장하는 의견도 있어 무지개연대의 진로와 고양시정 공동운영을 포함한 시민사회의 역할에 대해서는 추가 논의가 진행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고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