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 김달수 경기도의원

▲ 김달수 경기도의회의원
"지역 사회발전을 위한 키워드를 커뮤니티, 협동사회, 자립이라고 본다면 마을만들기는 바로 이 세가지를 복원해내는 일입니다.”

희망과대안 기획위원, 희망제작소 뿌리센터장 등으로 활동하며 마을만들기 전문가로 불리는 경기도의회 김달수 의원의 마을만들기 정의다. 김 의원에게 ‘마을’에 대한 정의도 부탁했다.

“공간, 문화, 지리적으로 동질성을 갖는 생활공동체죠. 예전에는 경제, 복지가 모두 지역에서 해결이 됐죠. 우리가 잘 아는 두레나 품앗이 개념이 그렇죠. 지역이 파괴되면서 모두 공공의 영역으로 넘어갔죠. 우리는 새마을운동하면서 전통적 마을만들기 토대가 깡그리 사라졌습니다.”

일본의 마을만들기가 잘 되는 이유는 지역전통이 잘 살아있기 때문이라고. 일본은 지역경제 개념인 커뮤니티 비즈니스, 평생교육도시, 생활협동조합 등 다양한 마을 사례들이 국내에 소개돼 벤치마킹되고 있다.
고양시는 마을만들기 분야에서는 출발이 많이 늦었다. 아직 잘되고 있다고 하는 동들도 국내 사례들과 비교해보아도 초보적인 수준. 어떻게 출발하는 것이 좋을까.

“어느정도의 관 주도는 필요하죠. 일본은 대부분 NPO라고 하는 시민 중간 지원조직들이 사업을 위탁받아 진행하죠. 우리는 우선 시민 조직과 활동가를 키워내는 일이 시급합니다.”

김달수 의원은 고양시 역시 시민사회단체들이 이슈중심으로 활동을 하고 있어 마을만들기 시민조직을 만드는 일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가장 중요한 주체인 공무원들에 대한 일상적인 교육 △시민 교육 △공모사업 △개혁을 김 의원은 마을만들기 사업의 중요한 순서라고 설명했다.

“고양시는 지금 개혁과 교육, 공모사업이 같이 구상되고 있는데 좀 염려가 됩니다. 관주도의 마을만들기를 민간에서 제대로 받아주려면 지역의 자율성이 회복되어야합니다. 공무원들 역시 취지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한 교육이 전제되지 않으면 결국 지속성에 문제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

수원시는 최근 ‘마을르네상스센터’라는 중간 지원조직을 만들었다. 외부 전문가들을 영입해 교육과 평가, 문제해결을 돕겠다는 취지다. 김 의원은 희망제작소 뿌리센터장으로 활동하면서 2008년 마포구청 마을만들기 사업을 외부 전문가로 지원했다. 당시 마포구청에 제안해 ‘살고싶은 우리동네 만드는 32가지 방법’이란 주민자치센터 프로그램 가이드북을 만들기도 했다. 주민자치센터의 정의부터 프로그램 기획, 평가지표, 다양한 프로그램 사례까지 담고 있는 이 책은 마포구청 주민자치위원들에게 배포됐다.

“마을만들기를 잘하려면 바보, 젊은이, 외부인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바보는 우직함을, 젊은이는 상상력, 외부인은 객관적인 시각을 말합니다. 철저하게 주민들이 중심이 되어 진행하면서도 전문성 객관성을 담보해야한다는 거죠.”

늦었지만 큰 그림을 그리며 출발하는 고양시의 마을만들기에 대해 김 의원은 전문가로서 필요하다면 역할을 하고 싶다는 바람을 전했다.

 

저작권자 © 고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