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란드 사회적기업 네트워크 빠띠니에미 교수

▲ 빠띠니에미 교수
“시장 중심의 경제가 사람들에게 너무도 당연하게 되어버린 상황도 힘든 문제다. 사회적 목적을 잃지 않으면서도 기업가 정신을 가지고 있어야한다. 그 조화를 어떻게 사회적 경제가 맞추어 갈 것인가가 도전 중 하나다.”
핀란드 사회적 기업 네트워크인 핀세르니(Finnish Social Enterprise Research Network)의 대표를 맡고 있는 헬싱키 대학의 빼까 빠띠니에미(Pekka Pattiniemi)교수를 만나 현재 핀란드 사회적 경제의 고민을 들었다. 핀세리느는 사회적 기업들을 연구하는 연구자, 기관, 학생들이 모여있다. 핀란드 안에서만이 아니라 여러 나라의 지식을 공유하고 조사한 자료를 공유하고 있다. 21명의 박사, 20명의 포닥 박사수료생, 63명이 활동가 등 104명의 멤버가 활동하고 있다. 대학안의 기관이나 정부관리 기관 등 다양한 10개의 기업들과 스웨덴 덴마크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에스토니아 핀란드 6개 국가 네트워크인 세로녹(www.sernocruc.dk)도 파트너로 참여하고 있다. 
“사회적 경제가 핀란드의 성장에 미친 영향이 크다. 50년대까지 핀란드는 못사는 나라 중 하나였는데 지금은 잘사는 나라 중 하나로 분류된다. 2차 대전 이후 협동조합과 사회적경제 개념이 도입돼면서 성장원동력이 됐다.

빠띠니에미 교수는 핀란드의 공공복지 역사를 잠시 설명해주었다. 초기 핀란드 정부는 국민들이 좋아하는 슬롯머신 등 일종의 도박장을 공공으로 운영해 그 기금으로 장애인, 아동복지에 사용했다. 핀란드 정부는 1995년 유럽연합 가입 이후까지 그런 방식으로 공공복지 기금을 충당했다. 이렇게 덩치를 키운 사회적 복지 분야를 최근에는 사회적 경제에서 떠맡고 있다. 장애인 지원서비스 등 약 1만5000개 정도의 모임이 운영되고 있다.

빠띠니에미 교수는 1995년  밑에서부터 올라오는 방식의 사회적 경제 운동이 시작되면서 사회적 기업들이 성장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관련법도 제정되고, 2011년에는 사회적 기업 인증 마크 제도도 도입됐다. 
“인증 마크를 얻기 위해 3가지 조건이 필요하다. 우선 사회적 도움이 되는 활동을 해야 하고, 두 번째는 투명성, 신뢰성이 있어야 하고, 세 번째는 이윤을 분배하는 조건이다. 이것이 필수조건이다. 여기에 세 가지를 더해 마크가 인증된다. 첫 번째는 고객에게 이웃공동체와 관계를 맺도록 하는지, 또한 근로자들이 복지, 세 번째는 환경을 고려해 최소한 훼손해야 한다.”

사회적 목적과 기업으로서의 조건이 함께 충족돼야한다는 것. 빠띠니에미 교수는 “사회적 경제도 시장과 경쟁을 해야 한다. 스웨덴에서처럼 핀란드도 시장중심의 경제가 당연한 것도 문제고, 사회적 목적도 가져가야하는데 그 조화를 어떻게 맞춰 가느냐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고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