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 편집국 기획위원 홍세화씨

“까르푸 문제에 대해 고양시 시민단체들이 어떻게 하기로 했답니까? 다국적 기업으로 식민지 경영 수법을 그대로 적용하고 있어요. 정말 나빠요. 지역의 시민단체들이 보이콧 운동을 펼쳐서 시민의 힘을 보여줘야죠.”

파리의 택시기사, 자칭 ‘이주노동자’ 홍세화씨. 한국에 착륙해 한겨레 신문사에 보금자리를 만든 지 석달이 넘어가고 있는 그는 인터뷰 시작부터 한국 까르푸의 불공정한 ‘노조탄압’을 지적하며 말문을 열었다.

=까르푸 문제에 적극적으로 나서게 된 계기가 있나.
한겨레 신문의 토론면 ‘왜나면’에 까르푸 노조문제를 소개하면서 알게 됐다. 프랑스 기업이라서? 그런 측면도 있다. 프랑스라면 절대 용인될 수 없는 일을 한국에서 버젓이 하고 있다는 사실에 너무나 화가 났다. 이미 글을 쓰기도 했지만 시민들의 보이콧 운동만이 방법이다.

=한국사회에서 아직 노동운동과 시민운동을 구분하는 분위기가 존재한다. 까르푸 노조 문제에 시민단체들이 쉽게 나설 수 없는 어려움도 있는데 어떻게 생각하나.
웃기는 얘기다. 시민들 개개인이 다 노동자 아닌가. 아직도 한국에선 지하철 파업하면 ‘시민 볼모잡는 노동운동’이라고 떠드는 걸 안다. 결국 ‘조중동’, 보수 언론의 얘기에 개인들이 세뇌된 거다.

=보수언론에 대한 지적과 한겨레에 대한 애착은 같은 의미인가.
우리가 제대로 된 역사교육 받아본 적 있나. 왜곡되고 감추어진 역사교육, 정권의 우민화 정책의 핵심이 결국 보수 언론이었죠. 안타까운 건 50년대엔 책을 읽고 공부하지 않는 사람들은 자신들의 무지를 부끄러워할 줄 알았는데 대중매체가 보급되면서 사람들은 TV나 신문을 통해 보고 들은 얘기를 자신의 논리라고 생각하고 주장한다. 그런데 그 논리가 결국은 권력화된 자본의 얘기다. 개인들이 무지를 깨닫고 학습할 기회를 갖지 못하고 세뇌된 의식이 끝임없이 공고화되는 셈이다. 시민주 신문으로 출발한 한겨레는 대안이라기 보다는 ‘정도(正道)’라고 생각한다.

=정치의 중앙집권화로 지역 언론이 자리잡을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지 않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나.
인구 6천만의 프랑스에서 부수가 제일 많은 르몽드지가 40~50만부를 발행한다. 한국에서는 3개 일간지가 6백만부를 쏟아내는데 결국 광고시장 때문에 그렇게 많은 부수를 발행한다. 신문은 그 사회의 ‘바로미터(기준)’의 역할을 한다. 신문의 수준이 결국 국민들의 수준을 반영한다. 지방자치를 뿌리내리고 서울의 영향력을 차단할 수 있을만큼 지역민들의 수준이 높아져야 한다는 얘기다. 고양시에서는 고양신문이 고양시민들의 수준을 나타내는 것이고 지역민의 정체성이 돼야 한다.

=야단같은 월드컵이 끝났다. 월드컵 열기를 어떻게 평가하나.
입시지옥 등으로 매여있던 청소년들이 집단적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광장을 경험한 것이다. 억압돼있던 욕구를 풀어놓았던 경험을 바탕으로 시민의 광장으로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또하나 한국인들이 백인에 대해 갖고 있던 일정부분의 콤플렉스에서 비로소 해방됐다. 이번 기회에 제3세계에 대한 한국인들의 이유없는 오만함도 해소될 수 있었으면 한다.

=앞으로 활동 계획과 고양시민들에게 한마디.
이주노동자, 재소자 인권문제 등 약자들에 대한 관심이 크다. 기회가 주어진다면 고양시 대화동의 아시아의 친구들 활동에 참여할 생각이다. 고양시민들에게는 건강한 지역신문을 키우고 북돋아야 지역이 발전한다는 얘기를 하고 싶다. 지역신문은 고양신문, 중앙지는 한겨레를 구독하자.

저작권자 © 고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