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 한 칸과 천막, 헛간에서 숙식하며 고된 삽질 끝 발견

기획 5천년 가와지볍씨, 한반도 벼농사의 기원을 밝히다

연재순서
1회 가와지볍씨, 발굴에서 출토까지
2회 벼농사 기원, 청동기에서 신석기로
3회 3천년 여주 흔암리 볍씨와 뭐가 다른가 
4회 1만5천년 청원 소로리 볍씨와 뭐가 다른가  
5회 5천년 가와지볍씨, 지역문화브랜드를 향해

--------------------------------------------

아직까지 국내 고고학계는 한반도 벼농사의 기원을 BC1천년 전쯤인 청동기시대로 보고 있다. 이는 국제학계가 지난 1976년 여주시 점동면 흔암리에서 발굴된 BC1천년전의 탄화미를 한반도 벼농사의 기원의 ‘물질적인 증거’로 보는 데서 출발한다. 교과서를 포함한 각종 역사서서도 그렇게 서술하고 있다.

그런데 지난 1991년 현재의 고양시 대화동(옛지명은 대화4리 가와지마을)에서 발굴된 ‘가와지볍씨’는 이 정설을 뒤엎을 수 있는 새로운 학설의 근거를 던져주었다. 볍씨 한 톨이 주는 의미는 가히 ‘혁명적’이었다. 가와지볍씨가 5천년된 볍씨로 재배벼라는 것이 입증됐기 때문이다. 청동기시대에 시작된 것으로 인식되던 한반도 벼농사가 사실은 신석기부터 시작됐다는 새로운 사실을 가와지볍씨 한 톨이 담고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가와지볍씨는 벼농사를 중심으로 한 ‘한강문화권’을 밝혀내는 데 단초로 기여한다.

가와지볍씨가 고양시의 대표적인 지역문화브랜드로 자리매김할 수 있고, 최초 한반도 재배볍씨라는 것을 인정받을 수 있도록, 가와지볍씨에 대한 인식의 저변확대를 위해 5회에 걸쳐 기획기사를 준비했다. 이번호에는 우선 가와지볍씨의 발굴과정과 출토 이후 반향에 대해 짚어보고, 다음호에는 가와지볍씨가 주는 의미를 좀 더 깊이 들여다보겠다. 

▲ 1991년 8월 가와지 2지구(당시 대화4리) 발굴현장 모습. 무더위 속에서 102일간 발굴작업은 계속됐다.

허허벌판에서 발굴작업 ‘막막’
일산신도시 개발로 가옥이 허물어지고 논밭뿐인 지역에서 문화유적 발굴조사에 착수한 것은 1991년 5월 8일이었다. 당시 발굴단장으로 한국선사문화연구소장이었던 손보기 교수가 이끄는 팀이 1지역(현재의 대화동·옛지명은 대화4리 성저)을 맡고, 충북대학교 조사팀이 2지역(현재의 대화동·옛지명은 대화4리 가와지마을)을 맡았으며, 단국대 박물관팀이 3지역(현재의 주엽동·옛지명은 주엽1리 새말)을 맡았다. 그리고 성균관대학교팀이 4지역(성터·옛지명은 대화4리 성저)을 맡았다. 지질조사는 한국지질조사연구팀이 맡았다. 이 중에서 2지역을 맡았던 충북대 조사팀을 이끌던 이융조 교수는 “우리나라에서는 처음 시도되는 논바닥 밑 토탕층 발굴이었는데 발굴 방법이 막막했다. 숙소도 가장 시급한 문제였다. 이미 마을에 자리했던 집들은 모두 철거됐기 때문에 발굴대상지는 논 밖에 없는 그야말로 허허벌판이었다”고 기억했다.

남은 집은 딱 한 가구뿐이었는데 충북대 조사팀은 그 집(김수원 선생 댁)을 찾아가 사정한 끝에 결국 방 2칸을 빌렸다. 약 50명 가까운 충북대 조사팀 모두 방에 기거할 수 없어 여학생들만 빌린 방을 사용하고 남학생들은 천막과 헛간에서 며칠이고 잘 수밖에 없었다. 빌린 솥에 철거된 집의 남아있던 나무를 가져다가 불을 피우고 밥을 지어 먹으면서 끼니를 해결했다.

가장 큰 문제는 이 큰 논바닥을 어떻게 발굴해야 하는지 뾰족한 방법이 없었다는 점이다. 일단 남녀 학생 구별 없이 매달려 아침부터 저녁까지 삽질하는 단순작업만 반복했다. 이 작업은 열흘 넘게 쉼없이 이어졌다. 이융조 교수는 “한번 뜬 삽을 버리는데 힘이 배로 들었다. 왜냐하면 습기가 많은 논바닥 흙이라서 삽에서 흙이 잘 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었다”고 당시 힘든 상황을 회상했다. 녹초가 되지 않은 조사팀원들이 없을 정도로 고된 강노동이었다. 

가래나무 층위서 찾은 볍씨 한톨
그런데 발굴에 착수한 지 2주일쯤 지났을 때, 한 학생이 소리쳤다. “까만 흑이 보인다!” 이융조 교수는 천막에서 하던 일을 멈추고 총알처럼 튀어나갔다. 이 교수를 비롯한 발굴 2지역 충북대 조사팀이 확인한 것은 논바닥으로부터 1.5m 내려간 층에 드러난 까만 토탄층(부패와 분해가 완전히 되지 않은 식물의 유해가 진흙과 함께 퇴적한 지층)이었다. 토탄층 확인을 계속하던 발굴 조사팀은 나무 기둥을 찾아냈는데, 그것이 바로 ‘가래나무’였다. 그리고 토탄층이 드러난 2~3일째가 되던 날 가래나무 층위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은 놀랍게도 볍씨 한톨이었다. 장차 한반도 벼농사의 기원을 밝혀줄, 나아가 한반도 벼농사가 신석기에서 출발했다는 기존 정설을 완전히 뒤집고 청동기로 소급시키는 힘을 지닌 볍씨 한톨이 토탄층에 수천년 동안 묻혀 있다가 세상에 드러난 순간이었다. 5000년 가와지볍씨의 탄생은 그렇게 이뤄졌다.

이융조 교수는 “정말 기쁜 마음으로 그날 밤 볍씨 발견을 자축하는 조그만 파티를 열었다. 이날 파티에는 볍씨를 발견한 충북대 조사팀뿐만 아니라 1지역 한국선사문화연구소팀, 3지역 단국대 박물관팀과 지질조사연구팀까지 합류했다. 흥분된 분위기는 새벽까지 이어졌다”며 볍씨를 발굴한 당시를 회상했다.

쌓인 토탄 낱낱이 체질해 추가발견  
가래나무 층위에서 발견된 볍씨 한톨에 고무된 조사팀은 다음날 ‘혹시 쌓아놓은 토탄 속에도 볍씨가 더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에 그 많은 토탄을 샅샅이 훑기 시작했다. 조사팀이 택한 방법은 플라스틱 목욕통에 논물을 받아놓고 체질을 하는 방법이었다. 체질을 하면 체 위에는 굵은 부스러기가 남고 목욕통 속에는 미립자가 떨어지는데 토탄 미립자 속에 혹시 볍씨가 섞여있지 않을까하는 생각 때문이었다. 이융조 교수는 “차를 몰고 인근의 철물점에서 구해온 철망으로 체를 급조한 다음 황토색인 논 도랑물을 목욕통에 넣고 체질을 반복했다”고 말했다. 여학생이 주축이 된 6개로 나눠진 물 체질 전담팀은 하루 종일 단조롭게 체질만 힘겹게 반복했다. 그 결과 까만색으로 변해버린 물 속에서 토탄찌꺼기와 함께 노란색을 띠고 있는 것은 틀림없는 볍씨들이었다. 이렇게 해서 11톨의 볍씨를 더 찾아 기존의 가래나무 층위에서 발견한 볍씨 한톨까지 포함해 모두 12톨의 볍씨를 확보하게 됐다. 

▲ 1994년 9월 17일 마이니치신문 문화면에 소개된 가와지볍씨. 신문은 ‘한반도에서 최고인 약 5000년 전의 재배종인 것으로 이융조 국립충북대학교 교수를 중심으로 한 연구로 밝혀졌다“고 보도했다.
‘이 12톨의 볍씨가 얼마나 오랜된 볍씨인가’를 밝혀내는 일은 볍씨 출토지점에 있던 숯이나 토탄의 측정연대를 밝혀냄으로써 알아낼 수 있다. 지금은 고인이 된 손보기(2010년 작고) 단장은 1991년 6월 13일 당시 볍씨 출토지점(가와지 1지구)에 있던 숯을 다른 시료들과 함께 항공편으로 세계적으로 유명한 미국의 베타연구소로 보냈다. 연대 측정 결과가 나온 것은 정확히 6일 후인 6월 19일이었다. 미국의 베타연구소가 밝혀낸 연대측정치는 4330BP(Before Present)였다. ‘BP’라는 단위는 1950년을 기준으로 얼마나 오랜된 것이냐를 측정하기 때문에 현시점(2014년)을 적용하면 밝혀낸 측정연대보다 최소한 64년을 더해야 한다. 즉 조사팀이 발굴한 볍씨 12톨은 무려 5000년 전의 볍씨라는 것이다. 이융조 교수는 “5000년이 넘는 자료에는 1~2년 또는 10년 단위는 큰 문제가 되지 않기 때문에 ‘5000년’으로 논문에 인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본 마이니치, 가와지볍씨 보도
가와지볍씨는 발굴 3년 후인 1994년 9월 17일 마이니치신문 문화면에도 소개됐다. 마이니치 신문은 가와지볍씨를 “한국 경기도 고양시 가와지유적에서 출토된 쌀이 한반도에서 최고인 약 5000년 전의 재배종인 것으로 이융조 국립충북대학교 교수를 중심으로 한 연구로 밝혀졌다. 한국에서 종례 사례보다 약 2000년 거슬러 올라가는 것이다. 또한 남방 해상루트로 전달됐다고 하는 일본의 쌀 기원 논쟁에도 파문을 일으킬 것이다”라고 소개했다. 특히 일본에서 한국으로 벼농사가 전래됐다는 일본인들이 이 주장의 근거로 삼는 것이 북해도 아오모리 근처 유적에서 발굴한 3500년 전의 토기에서 검출된 벼 규소체다. 그런데 가와지볍씨는 이보다 1500년 이전의 볍씨라는 것이 밝혀짐으로써 기존의 일본인 주장을 뒤엎고 한국에서 일본으로 벼농사가 전래됐다는 근거를 제시했다. 

<이번 기획기사는 한국언론재단 지역신문발전위원회의 지원을 받아 진행되고 있습니다.>


  

 

저작권자 © 고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