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 천재 서화가였던 추사 김정희(1786-1856)의 세한도는 “날씨가 추워야 송백의 푸르름을 알 수 있다”는 <논어>의 한 구절을 화제로 그려진 한 폭의 문인화이다. 가로 69.2㎝, 세로 23㎝의 이 작은 서화가 추사의 수많은 작품 중에서 최고의 걸작으로, 오늘날 전 국민의 사랑을 받기까지 길고도 험난했던 여정을 아는 사람은 별로 많지가 않다. 


추사(秋史)의 본관은 경주이며, 영조대왕의 사위였던 김한신(金漢藎)대감의 증손이자, 이조판서를 지낸 아버지 노경(魯敬)의 맏아들로 정조 10년 예산에서 태어났다. 그는 일찍부터 실학자 박제가(朴齊家)로부터 가르침을 받았고, 24세 때 동지부사인 아버지를 따라 연경(북경)에 다녀왔다. 이 때 그는 청나라 석학 옹방강으로 부터 서화를 비롯하여 경학과 금석학에 관한 새로운 지식을 쌓는 한편, 완원으로 부터는 완당(阮堂)이라는 호를 받게 된다. 중국의 신학문을 접한 그는 세도가문의 줄을 타고 규장각 대교, 충청도 암행어사, 성균관 대사성을 거쳐 병조판서로 승승장구하며, 중국 편향적이라는 비판을 받기에 이른다.


헌종 6년(1840), 그의 나이 55세 되던 해에 당쟁과 관련된 ‘윤상도의 옥사’사건이 터지자, 추사는 모진 고문을 받고 제주도에 유배되었다. 명문거족 출신으로 한 평생 어려움을 모르고 살아온 추사로서는 일생 최대의 시련이었다. 유배 당한지 5년째 되었을 때, 제자이자 역관인 우선 이상적(李尙迪, 1804-1865)이 매번 중국의 최신 서적들을 구해 보내주는 답례로 생애 최고의 <세한도>를 그리게 된다. 그림의 구도는 왼쪽엔 잣나무 두 그루와 그 옆으로 초라한 초막집과 함께 꼿꼿이 서있는 소나무 두 그루를 그리고, 오른쪽 상단에 화제와 함께 정희(正喜), 완당(阮堂), 추사(秋史)라는 세 가지 인장을 찍은 다음, 하단에 장무상망(長毋相忘, 오래도록 서로 잊지 말자)이라는 한장(閑章)을 찍어 놓은 것이 전부이다.


추사는 이 그림에서 갈필의 마른 붓질로 자신의 어렵고 외로운 상황을 절묘하게 표현했을 뿐만 아니라, 그간 글씨에 불필요한 가식과 기름기가 들어있다는 주변의 평을 불식시킴으로서 자신만의 독특한 추사체를 완성시켰다. 제자 이상적은 추사가 보내준 세한도를 들고 중국에 들어가 청나라 학자 16명의 시와 글을 받았다. 이것이 세한도의 '청유십육가(淸儒十六家)제찬'이다. 이렇게 꾸며진 세한도는 이상적 사후 그의 제자 김병선과 김준학의 손을 거쳐 휘문고등학교 설립자인 민영휘와 그의 아들 민규식의 손으로 넘어갔다. 이후 어찌된 일인지 베이징의 골동상으로 넘어가 인사동에 매물로 나온 것을 당시 경성제국대학 교수로 부임한 후지쯔까 치까시(藤塚?)가 입수하였다.


후지쯔까는 일본의 대표적인 동양철학연구자로 동경대학에 제출한 자신의 박사논문에 “청나라 학문은 조선의 영민한 천재 추사 김정희를 만나 집대성되었으니 청조학 연구의 제1인자는 김정희이다”라고 결론지었다. 1944년 여름, 태평양 전쟁이 절정으로 치닫자 후지쯔까는 세한도를 들고 일본으로 귀국하였다. 당대의 서예가 소전 손재형(素筌 孫在馨)이 일본까지 따라가 돈은 얼마든지 줄 테니 세한도를 넘겨 줄 것을 요청하였으나 매번 거절당하였다. 그 후 몇 개월이 흐른 다음 후지쯔까는 돈은 필요 없으니 보관만 잘 해 달라는 당부와 함께 세한도를 소전에게 넘겨주었다.


소전이 세한도를 들고 귀국한지 3개월 뒤 후지쯔까의 집은 미군의 공습을 받고 잿더미로 변하였다. 운명처럼 살아남은 세한도에 추사의 문인 김석중이 찬(贊)하고, 정인보, 이시형, 오세창 등이 발문을 달았다. 세한도는 10미터의 긴 두루마리로 불어나 1974년 국보(제180호)로 지정되었다. 소전은 세한도를 끝까지 지키겠다고 맹세하였지만, 형편이 어려워지자 개성출신의 거상이자 미술품 수집가인 손세기에게 넘겼고, 그의 아들 손창근은 2010년 국립중앙박물관에 이를 기탁하였다.

                                                        최재호 전 건국대 교수(경영학)

저작권자 © 고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