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 고양파주 민간인 학살 심포지엄

“역사가 왜곡되면 역사가 발전할 수 없다. 좌우가 무언지도 모르는 사람, 어린이들이 죽었다. 우리가 지금 남로당, 인민위원회 얘기하자는 것이 아니다. 50년이 넘었는데 그동안 유족들과 피해자들의 삶이 얼마나 힘들고 어려웠겠는가.”

제1회 한국전쟁기 고양파주지역 민간인 학살 심포지엄이 3월 26일 오후 1시 일산구청 대회의실에서 열렸다. 토론자로 나선 이이화(역사학자)씨는 인사말을 이렇게 시작했다.

1시부터 30분간 그동안의 금정굴 발굴당시의 상황, 유족회의 활동, 방송 보도내용을 정리한 동영상을 상영했다. 특히 작년 고양시의회에 진상규명 발의안이 본회의에서 결국 통과되지 못한 상황들을 보도한 장면을 보면서는 다들 안타까움을 감추지 못했다.

신호승(고양지역사회 연구소)연구원의 사회로 진행된 심포지엄의 주제발표는 오유석(성공회대) 교수, 이재정(민주노동당) 대의원, 신기철(고양시민회) 사무국장, 이춘열(금정굴 공대위) 집행위원장등이 맡았다. 토론자로는 이이화(역사학자), 한홍구(성공회대) 교수, 김득중(성균관대) 교수 등이 나섰다. 심포지엄은 고양금정굴 학살 공동대책위원회가 주관하고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학살 진상규명 범국민위원회가 주최했다.

오유석 교수는 발제문에서 한국전쟁 당시 민간인 학살의 책임이 국가에 있음을 분명히 하며 “국가기구가 전쟁 범죄를 앞장서서 실현하는 때에 국가의 통제가 미치지 못했다는 것은 변명이 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고양지역사회 연구소가 주축이 돼 조사된 금정굴 학살의 특징은 우선 당시 고양군 전역의 희생자들이 금정굴에서 희생됐다는 것이다. 대부분 고양경찰서로 끌려갔다가 별다른 재판없이 죽임을 당했다. 자료집에는 100여명의 실명과 신원이 확인된 금정굴 피해자의 명단과 사연을 실려 있다.

토론은 국보법과 연좌제에 의한 유족들의 피해 상황, 태극단과 일제잔재와의 관련성, 특별법제정의 의미까지 폭넓게 진행됐다.
저작권자 © 고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