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건축물 소방시설 전수조사

<자료제공=일산소방서>

[고양신문] 지난 1월 고양시에 있는 목욕탕과 요양시설이 있는 복합건물 209개 소에 대해 고양·일산소방서가 전수조사를 실시한 결과 다양한 문제점들이 발견됐다. 소방당국은 우선 문제점을 확인한 이후 관계 기관과 함께 개선방안을 고민할 계획이다. 당장은 상시 전담반을 운영해 시설에 대한 불시 현장점검을 강화할 방침이다. 상시 점검반은 2월 안에 본격 시행된다.

일부 건물, 비상계단 개선 필요

전수조사 결과 고양시는 복합건축물의 설계 구조가 애초에 화재대피에 취약하다는 총평이 나왔다. 큰 건물의 경우 비상계단 2곳이 중앙에 밀집돼 있다는 점이 문제였다. 연기를 피해 계단으로 피신해야 할 경우, 비상계단이 거리를 두고 건물 끝으로 분리돼 있다면 연기가 적은 쪽으로 대피할 수 있지만, 일부 건물의 경우 비상계단이 가까운 거리에 붙어 있어 화재대피가 용의하지 않다는 것. 만약 비상계단이 밀집된 곳에서 화재가 발생한다면 인명피해가 클 수밖에 없다. 소방서 관계자는 “신도시 개발로 지어진 대형 복합건물 중에 화재대피에 취약한 비상계단이 많았다”며 “타 기관과 협조를 통해 개선방안이 모색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요양원도 요양병원처럼 관리돼야

또 하나는 요양원 문제다. 요양병원은 의료법에 의해 소방시설 점검이 까다로운데 반해, 요양원은 노인복지법을 따르기 때문에 병원에 비하면 소방시설이 까다롭지 않은 편이다. 하지만 노약자가 이용하는 시설이라 화재발생시 대피가 어렵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병원수준의 소방점검과 건물인허가가 필요하다고 일산소방서 관계자는 판단했다. 또 다른 문제는 평상시 환자 안전을 위해 설치된 창문 철창이 비상시에는 오히려 인명피해를 키울 수 있다는 점이다.

건물 1층이 벽이 아닌 기둥으로 설계된 ‘필로티 구조’ 건축물의 경우에는 1층 주차장과 내부 연결통로에 방화문(철문)이 아닌 유리문이 설치되어 있어 1층 주차장에서 불이나면 열과 연기가 건축물 내부로 쉽게 유입되는 것도 지적 대상이었다.
 

일산소방서 대원들이 비상계단의 방화문을 점검하고 있다. 고양소방서와 일산소방서는 지난 1월 한 달간 고양시 목욕탕과 요양시설을 전수조사했다.


고양시 화재발생 매년 증가

고양시 인구는 매년 늘어나면서 화재발생 건수도 늘고 있다. 2015년 일산지역의 화재진압 건수는 263건, 2017년에는 302건으로 늘었다. 

일산소방서 관계자는 인명피해나 화재규모를 보면 겨울철이 더 위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아무래도 겨울에는 난방기 등 열에 민감한 제품들을 사용하기 때문에 다양한 곳에서 화재가 발생한다”고 말했다.

겨울철 화재는 고양시 내외곽을 가리지 않고 있다. 외곽지역 화훼단지의 비닐하우스 등에서는 나무난로, 기름난로 등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고, 전기합선으로 화재가 발생하기도 한다. 도시를 둘러싸고 있는 영세공장과 창고에서도 같은 이유로 화재가 발생한다. 이번 겨울에는 아파트 화재도 몇 차례 있었다.

소방서 관계자는 “집에서는 주로 전기장판 화재가 많으며, 음식물 조리로 연기가 갑자기 발생하는 경우 신고가 들어오기도 한다. 기름에 물을 끼얹어 불이 커지는 사고도 있었다”고 말했다.

이태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화재안전연구소장은 화재안전을 위해서는 소방당국만이 아니라 사회 전체적으로 안전 인식과 기준이 강화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짧은 기간에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단기방안도 있어야겠지만, 장기적이면서 근본적인 안전대책이 필요하다”며 “에너지효율 등급처럼 건물마다 내진이나 화재안전에 대한 등급을 만든다면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고 효과도 높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고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