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2020년까지 분당규모의 20개 신도시를 조성하고 도내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광역 급행철도 및 도내 각 지역과 서울을 연결하는 22개 광역급행버스(BRT) 차로 건설을 추진한다는 것을 골자로 한 ‘수도권 성장관리 기본구상’을 지난달 발표했다. 이는 중앙정부가 경기도를 배제한 채 일방적으로 김포, 파주, 삼송 등 신도시 정책을 추진하는 데 따른 난 개발의 우려에서 나온 대책이라고 본다.
신도시는 교육 문화 교통 생산시설 등이 갖춰진 도시로 건설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정부가 지난 2월 발표한 149만평의 삼송신도시는 과연 지속 가능한 도시로 개발될 것인가? 우선 도시의 형태로 볼 때 난개발이 예상된다. 지축동벌의 넓은 집단취락 지역 등은 제외되고 오금동 골짜기까지 아파트가 들어설 계획이어서 땅값이 오른 뒤 지축동 등에서 무질서한 건축이 잇따를 것으로 보인다.
중앙 부처가 개발권에 집단취락 지구를 제외 한 것은 땅값이 비싼 취락지구의 보상 문제 때문인 것 같다. 도시의 평면 형태로 보면 규칙적인 교통체계를 갖춘 일산 신도시와는 달리 미로같은 도로 구조를 갖게 될 것이다. 고봉산 기슭까지 침범한 아파트의 예로 볼 때, 골짜기를 점유하는 아파트군은 환경에도 큰 피해를 줄 것이 뻔하다.
시가지 내의 공원녹지의 확보도 문제다. 서삼릉 일대를 접하고 있는 삼송지구는 그린벨트의 잠식으로 녹지공간이 줄어들고 있다. 이참에 서삼릉과 주변목장 일대 20여만 평을 친환경 문화도시공원으로의 지정하면 어떨까. 삼송지구의 중심을 흐르는 창릉천도 서울시의 청계천 복원처럼 자연 생태계를 보존시킬 방법을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이곳의 대중교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선 삼송역과 원당역의 중간 지점인 솔개마을 입구에 지하철 3호선의 신설 역사를 짓는 것도 고려할 만하다.
마지막으로 지역경제를 빼놓을 수 없다. 건교부는 자족기능을 위하여 이곳에 애니메이션산업을 적극 육성할 계획이라고 한다. 이 또한 지자체와 사전 협의가 이루어진 것인지 의문이다. 산업이란 어떤 형태로든 그 지역과 연관되어야 하므로 경기도의 장기발전계획과 맞물려 이 문제를 재검토해야 할 것이다.
삼송 개발권 이웃에서는 은평 뉴타운이 개발되고 있다. 서울시의 개발계획을 면밀히 검토하여 어떤 연계개발이 고양시에 유익한지도 살펴 볼 일이다. 앞으로는 공공아파트의 분양 원가가 공개 될 것이 확실한데, 삼송지구의 개발이익이 고양지역에 환원되는 방안이 무엇인지 찾아야 한다.
지역 산업의 발전을 고려하고 지자체와 협력하여 만들어진 신도시야 말로 아름답고 여유 있는 도시, 개성 있고 문화적인 도시, 건강하고 깨끗한 도시, 편리하고 안전한 새로운 도시로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은길 경기도의회 의원

저작권자 © 고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