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수도권매립지 수해폐기물 하역 장면. 사진=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인천 수도권매립지 폐기물 하역 장면. 사진=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신년기획➊
-새해의 고양시 난제 ‘쓰레기 대란’-

26년부터 인천 매립지 반입금지 
한 해 7만여톤 쓰레기, 어디에? 
쓰레기처리 취약도시 1위 고양 
“올해 가장 시급히 다룰 사안”
1월 25일까지 후보지공모 기대

[고양신문] 2023년 새해에 고양시가 꼭 마쳐야 할 숙제가 하나 있다면 바로 소각장 증설을 위한 부지 확보다. 경기도 내 많은 지자체의 당면한 숙제지만, 고양시는 쓰레기 대란 우려가 타 지자체보다 더욱 심각하기 때문에 새해에는 이 문제를 반드시 해결하고 넘어가야 한다는 부담이 크다.

각 지자체들이 인천에 있는 수도권매립지에 보내고 있는 쓰레기의 양을 확인해 보면, 앞으로 위기를 맞게 될 지자체가 어디인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유는 수도권매립지가 3년 뒤인 2026년부터 쓰레기 반입을 금지한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국민의힘 이주환 의원실이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로부터 받은 ‘수도권 지자체 반입초과 현황’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20년∼2022년 8월) 매년 초과 반입이 적발된 지자체는 총 9곳으로, 서울에선 강남구·강서구·구로구·동대문구·영등포구, 경기도에선 고양시·김포시·의왕시·화성시다. 이 9개 지자체에서도 같은 기간 가장 많은 양을 초과 반입한 지자체 1위는 고양시였다. 

서울 자치구를 포함한 수도권 지자체 중에서 고양시는 쓰레기를 자체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이 가장 떨어지는 지자체라는 의미다.

이 의원은 자료를 공개하며 “2026년 생활쓰레기 직매립 금지에 대비해 각 지자체가 매년 쓰레기를 줄이려는 노력을 하고 있는 만큼 주민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뒷받침돼야 한다”며 “쓰레기 대란에 대비해 소각장 확보 등 보다 근본적이고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고양시 백석 소각장.
고양시 백석 소각장.

고양시 1년 쓰레기 11만톤 
이 중 45%만 소각 가능 

지난해 기준 고양시에서 배출되는 가연성 생활쓰레기는 연간 11만4767톤이다. 하루 평균으로 치면 약 314톤. 고양시민 1인당 하루 약 0.29㎏, 연간 106㎏의 가연성 생활쓰레기를 생산하는 셈이다.

이렇게 배출된 가연성 쓰레기들 중 실제로 고양시에서 소각되는 양은 5만2000톤에 불과하다. 고양시 소재 소각시설은 백석동 소각장이 유일하기 때문이다. 소각하지 못한 나머지 6만2700톤은 인천으로 보내지고 있다. 비율로 보면 소각 45%, 매립은 55%다. 고양시는 매립 비율을 0%로 낮추기 위해 앞으로 3년 내에 소각장을 추가 건설해야 한다. 

이동환 시장은 취임 직후 소각장 건립부지 공모를 지시했다. 건립 규모는 백석동 소각장 보다 약 2배 큰 규모다. 9월 23일까지 진행된 1차 공모에서는 1건도 접수가 이뤄지지 않아 무산됐고, 현재는 2차 공모가 진행 중이다. 

시 관계자는 “새해 1월 25일까지 재공모가 진행 중”이라며 “접수 결과에 대해서는 공모가 마감된 후에 한꺼번에 공개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새해 1월 접수 완료되면
‘입지선정위원회’ 타당성 조사

고양시가 추진 중인 신규 소각장은 하루 처리량 650톤 규모다. 전체 건립비는 약 2600억원으로 예상되는데, 시는 건립비용의 20%에 해당하는 514억원을 주민 편의시설 조성에 사용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매년 발생하는 쓰레기 반입 수수료의 20%는 지역을 위한 기금으로 조성해 마을 발전에 지속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마을 입장에서는 주민 편의시설을 늘리고 공공인프라를 확대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소각시설에 대한 거부감이 워낙 크기 때문에 접수가 들어오더라도 인근 주민들의 이해와 동의를 얻는 데 어려움이 따르지 않을까 걱정이 크다”고 말했다.

이어 “부지 선정과정에서 주민들과 함께 고민하고 해결책을 찾아나갈 계획”이라며 “설계, 건립공사, 운영, 주민편의시설 조성 등 전체적인 과정에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하고 주민친화적 시설로 조성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부지 공모 접수가 마무리되면 시는 전문가와 지역 주민들로 ‘입지선정위원회’를 꾸려 타당성 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폐기물 처리 시설이 들어서 있는 아산시 환경과학공원.
폐기물 처리 시설이 들어서 있는 아산시 환경과학공원.

시민친화형 랜드마크 소각장
고양에서도 가능할까?

고양시는 최근 랜드마크로 거듭나고 있는 최신 시설의 소각장도 적극 소개하고 있다. 아산시에 있는 환경과학공원은 겉모습만 보면 장영실과학관, 아산생태곤충원, 전망대까지 갖춘 친환경 생태공원이다. 이곳은 매주 아이들 손을 잡고 가족들이 찾는 휴식처이면서 동시에 하루 200톤 규모의 생활쓰레기를 소각하는 생활자원 처리장으로 쓰이고 있다. 150m 높이 그린타워에 올라서면 아산의 전경이 훤히 내려다보인다. 그린타워 벽면에 60m 길이의 LED 미디어파사드를 설치해 아름다운 영상을 송출한다.

하남 유니온파크는 수도권에서 가장 혁신적인 폐기물 처리장으로 정평이 나 있다. 이곳에는 지상에 넓은 녹지공원과 함께 풋살, 농구, 테니스, 게이트볼 등 야외체육시설, 실내체육관, 아이들이 뛰어놀 수 있는 야외물놀이장이 있다. 인근에는 종합쇼핑몰 스타필드하남이 자리 잡고 있다. 105m 높이의 전망대에서는 한강, 미사리조정경기장, 팔당대교의 아름다운 경치가 시원하게 펼쳐진다. 유니온파크 지하에는 하수와 폐기물 처리시설 6종이 조성돼 있다. 생활폐기물 소각량은 하루 최대 48톤이다. 이와 함께 음식물 자원화, 재활용품선별 등을 합치면 하루에 처리할 수 있는 폐기물은 총 238톤에 달한다.


소각장 건설·운영 정보
고양시가 더 소상히 밝혀야

소각장 증설에 가장 큰 걸림돌은 주민 반대다. 이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남궁혜경 고양YWCA 국장은 “소각장을 어느 부지에 지을지 말지를 떠나 우리가 처한 이 심각한 실상을 우리 스스로가 너무도 모르고 있다는데 더 큰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몇 년 안에 겪게 될 쓰레기 대란의 실상과 현재 우리가 처한 상황을 시민들이 알 수 있도록 다양한 통로로 고양시가 홍보해야 한다는 얘기다. 또한 그는 “우리가 발생시킨 폐기물은 외부로 보내는 것이 아니라 우리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는 당위를 반드시 담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입지 선정이 원활히 진행되기 위해서는 고양시가 소각장 건설계획 정보를 더 소상히 밝힐 필요가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남궁혜경 국장은 “소각장 선진 사례를 살펴보면 소각장을 짓기 전부터 어떤 방식으로 어떻게 운영할지에 대해 투명하게 정보를 공개했고, 주민들에게 운영에 대한 비전을 주면서 끈질기게 설득해서 만들어 냈다”며 “고양시가 단순히 돈을 얼마 주겠다, 몇백억원 만큼의 편의시설이 들어온다가 아닌, 어떤 방식으로 어떻게 운영할지에 대한 상세한 로드맵을 공모 전에 미리 밝힐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고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