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테네 올림픽에서 우리가 10위권 안에 오르면서 경제가 어려운 가운데에서도 큰 위안이 되었다. 우리나라가 '소득 1만 달러, 세계 12위의 경제 대국'이라는 통계는 있지만 실제로 몸으로 체감하는 사람은 우리 사회에 거의 없을 것이다.

아테네 올림픽이 몇 가지 아쉬움 속에 성공리에 끝났지만 올림픽이 완전히 끝난 것은 아니다. 1백45개국 4천여 명의 선수가 참가하는 장애인올림픽이 17일부터 28일까지 12일 동안 아테네에서 이어진다. 통계를 보면 우리나라 인구의 약 10%정도, 즉 4백60만 정도가 장애인으로 집계되어 있다. 그러나 장애인들도 정신 지체 시각 청각 등 종류가 다양하고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 인구를 합치면 그 숫자가 좀더 많을 것 같다. 특히 노인성 질환을 앓고 있는 계층까지 합치면 심각한 수준이 된다.

그런데 장애인들에 대한 정부 대책을 살펴보면 한숨이 나온다. 역사가 5천년에 이르는 나라이지만 장애인들을 매우 홀대해 온데 그 원인이 있다. '우선 먹고 사는 핑계'로 외면한 정부의책임도 크다. 사회의 냉소 분위기는 장애 가족들에게 '쉬쉬'하는 풍조까지 낳았다. 사회분위기는 장애인들이 당당히 권리를 찾고 떳떳하게 생활하는데 많은 부담을 주고 있다.  우선 대부분의 주변 환경이 정상인들만 사용하도록 만들어져 있다. 주택 구조와 길거리, 교통수단 모두가 불리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장애인들이 정상인과 똑같이 활동하기 위해서는 시간과 노력이 아주 많이 들어간다. 시각 장애인과 청각 장애인들이 길거리에 나서면 위험하기 짝이 없다. 시각 장애인들은 정상인들이나 훈련된 맹견을 활용해야 하는데 그 비용이 만만치 않다. 청각 장애인들이 사용하는 보청기도 수백만원을 호가한다.

지하철에 진출입할 때 지체 장애인들은 운반기를 사용하더라도 매우 위험스럽다. 절차도 관련 직원을 호출해야 하는 등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버스나 기차를 탈 때도 마찬가지다. 직장이나 학교에서 체육활동을 할 때도 장애인들은 철저히 소외 당한다. 가까운 일본을 살펴보면 장애인용 버스가 많고 항상 장애인들을 먼저 태운다. 버스 운전기사가 맨 먼저 장애자를 승차 확인한 뒤 정상인들을 승차시킨다. 뉴질랜드에는 장애아가 학교에 입학하면 아예 전담교사가 배정된다.

장애인 보는 우리의 시각은 뭔가 잘못돼 있다. 우선 장애인을 '측은하다'는 생각으로 본다는 점이다. 장애인들도 우리 사회의 중요한 구성원이라는 점을 잊고 있다. 사회의 분위기도 중요하다. 대기업이나 공공기관, 사회단체에서도 정확한 직무분석을 통해 장애인들의 고용기회를 확대해 가야한다. 또 정부는 장애인들에게 알맞은 교육의 기회를 확대해 가야한다.

결론적으로 장애인들을 우리 사회의 밝은 태양 아래 끌어내기 위해서는 몇 가지 전제가 앞서야 한다. 첫째, 우리 사회의 장애인들에 대한 인식이 새로워져야한다. 장애인들이 바로 우리의 이웃이며 친지, 가족이라는 사실을 확실히 깨달아야 한다.

둘째, 장애인들은 장애의 정도와 적성에 맞는 교육이나 재교육의 기회를 열어줘야 한다. 무상 교육보다는 정부 주도의 사전 지원 뒤에 장기 저리의 상환제도도 채택해 볼만하다.

셋째, 제도적인 취업기회의 확대가 필요하다. 보건복지부는 우선 장애인들이 고용될 수 있는 기회를 파악하고 확대해 가야 한다.

마지막으로, 장애인들의 치료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장애인들의 발생 사례별 자료들을 보관하고 치료와 재생방안을 연구해야 한다. 장애 사안별로 건강보험의 특별지원도 필요하다.

장애인과 불우 노인들을 위한 시스템 갖추기. 이것은 우리 사회가 복지사회로 가는 필연적 과정이다. 때 마침 여야 모두가 장애인 출신 국회의원을 배출했다. 모두가 공감하고 장애인들에게 절실한 21세기형 새로운 장애인 복지정책을 기대해 본다.

 

 

배유현

저작권자 © 고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