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세미 사과나무의료재단 가정의학과 과장의 건강칼럼

사과나무의료재단 건강증진센터에서는 기능의학을 접목해 과학적인 분석과 처방으로 일반검진에서는 파악하기 어려웠던 질환의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해 치료를 돕는다. 사진은 건강증진센터 대기실 전경 [사진 제공 = 사과나무의료재단]
사과나무의료재단 건강증진센터에서는 기능의학을 접목해 과학적인 분석과 처방으로 일반검진에서는 파악하기 어려웠던 질환의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해 치료를 돕는다. 사진은 건강증진센터 대기실 전경 [사진 제공 = 사과나무의료재단]

[고양신문]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먹고 입는 것이 풍요로우면서도 여전히 건강에 해로운 환경에 노출돼 있다. 그중 최근 많이 거론되고 있는 중금속 중독은 음식섭취나 생활환경, 황사과 미세먼지 등이 다양한 경로를 통해 우리 몸속에 쌓여 생기게 된다. 

중금속 중 수은의 경우 방부제, 석유제품, 염색약, 살균제, 생선 등을 통해, 또 납은 산업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기 때문에 일상생활에서도 쉽게 노출된다. 하지만 별다른 통증이나 예후가 없기에 중금속 중독을 발견하기는 쉽지가 않다.

환자의 건강상 문제를 살피는 1차 진료의로서 진료하다 보면 일반적인 검사에서는 원인이 잘 파악할 수 없던 질환이 중금속 검사를 통해 비로소 설명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예를 들어 수은에 만성적으로 노출된 경우 불면, 식욕손실, 기억력 소실, 지적 능력 저하, 과도한 정서불안, 인격 변화와 같은 정신적인 변화가 나타날 수 있고 치은염, 구내염 증상이나 사지나 입술 등이 미세하게 떨리는 진전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비소에 중독되면 피부의 색소침착 과잉이나 각화증과 같은 피부 증상이 있을 수 있고 말초혈관·신경 장애, 알 수 없는 근육통이 생기기도 한다. 만성적 알루미늄 중독 환자는 기억력 감퇴나 건망증 증상이 날이 갈수록 심해진다고 호소하기도 한다. 

이러한 중금속들은 어떤 경로를 통해 체내로 들어오는 걸까. 먼저, 오염된 어패류나 조개류를 통해서 들어오는 경우다. 중금속을 포함하고 있는 어패류 중 가장 대표적인 경우가 참치인데, 참치회를 좋아하는 사람이나 참치캔 음식을 많이 먹는 경우 수은 중독으로 이어질 수 있다. 수은을 머금은 해조를 먹고 사는 작은 어류들을 먹이로 삼는 참치와 같은 포식 어류들은 수은이 축적된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이다. 

납이나 카드뮴은 페인트나 인쇄잉크, 광고물, 염색약 등을 통해 인체로 들어올 수 있으며, 일부 오염된 한약이나 한방재료, 중국산 차 재료 등을 통해 비소 중독이 일어날 수 있다. 또 알루미늄 포일이나 코팅 프라이팬, 코팅 조리도구를 사용하다 보면 알루미늄 중독에 노출될 수 있다. 어떤 것이 포함돼 있는지 모를 중국발 황사와 미세먼지도 자연스럽게 폐나 피부를 통해 인체의 중금속 오염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인체가 중금속에 오염됐는지 알아보는 검사로는 모발미네랄검사(TMA), 혈액검사와 소변 검사가 있다. 이 중에서 모발은 지속해서 물질들이 축적돼 장기간의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가장 추천할 만하다. 모발미네랄검사는 중금속에 대한 정보 외에도 인체의 미네랄 과잉이나 부족에 대한 정보 등도 알 수 있어서 기능의학 분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검사 도구다. 

우리 몸이 중금속에 오염됐음이 밝혀졌다면 치료는 어떻게 할까. 어떤 중금속이 오염됐는지에 따라 사용하는 해독방법은 차이가 있지만, 주로는 수액 치료와 영양제 치료를 한다. 예를 들어 납중독의 경우 대중에게도 많이 알려진 EDTA 킬레이션 수액 요법을 하면 비교적 쉽게 해독할 수 있다. 이외에도 기능의학 병원에서는 중독된 중금속 종류에 따라 요오드, 고용량 비타민C, 아연, 셀레늄, 글루타치온, 알파리포산 등의 영양 성분을 이용해 해독치료를 한다.

박세미 가정의학과 전문의
박세미 가정의학과 전문의

급성 중금속 중독과 달리 만성중독은 일상 속에서 낮은 농도의 중금속에 장기간 노출돼 발생하게 된다. 속도가 서서히 진행되고 증상도 조금씩 나타나기에 진단 역시 쉽지 않다. 따라서 중금속 중독이 더욱 심한 질병으로 이어지기 전에 적절한 중금속 검사를 통해 몸 상태를 점검한다면 건강관리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박세미 사과나무의료재단 건강증진센터 가정의학과 전문의

저작권자 © 고양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